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총정리

by 늘솔 2025. 7. 17.
반응형

“월세는 계속 오르는데, 전세는 너무 멀게만 느껴지나요?”

청년, 사회초년생, 대학생도 정부가 지원하는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을 활용하면 보증금 수천만 원이 없어도 전세 이사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신청 대상, 소득·나이 제한, 금리·한도, 준비서류까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 청년 전세자금대출이란?

정부가 주택금융공사 또는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청년층(만 19~34세)의 주거 안정을 위해 지원하는 저리 전세 대출 프로그램입니다.

✅ 2025 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항목 조건 내용
나이 만 19세 ~ 만 34세 이하
소득 요건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맞벌이: 7천만 원 이하)
무주택자 요건 본인 및 배우자 모두 무주택자
주택 조건 임차보증금 2억 원 이하 (서울은 3억까지 가능)
보증금 비율 보증금의 80~100%까지 지원 가능
대출 한도 최대 7천만 원 ~ 1억 2천만 원 (상품에 따라 다름)
대출 금리 1.2% ~ 2.4% (소득구간·보증조건별 차등)
대출 기간 2년 단위, 최대 4회 연장 가능 (최대 10년)

 

 

 

✅ 주요 전세대출 상품 비교

상품명 특징 금리  한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정부지원 대표 대출 1.2%~2.4% 최대 1억 2천만 원
청년 전용 보증부 대출 1인 청년 특화 1.5% 내외 최대 7천만 원
LH 전세임대 청년 대상 직접 임차 지원 월세형 or 전세형 집 직접 구한 후 계약

 

✅ 신청 방법 및 서류

1. 신청 채널:

  • 은행 (국민·신한·농협 등)
  • 한국주택금융공사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LH 청년전세임대 포털

2. 필요 서류:

  • 임대차계약서 (확정일자 필수)
  • 주민등록등본
  • 소득확인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 등)
  • 재직증명서 or 사업자등록증
  • 전입신고 예정 증빙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대학생도 신청할 수 있나요?
→ 가능! 단, 부모님 소득까지 합산되는 경우도 있으니 조건 체크 필요

 

Q2. 전세대출을 월세처럼 분할 상환하나요?
→ 대부분 만기 일시 상환. 단, 일부 상품은 월상환도 가능

 

Q3. 전세자금대출로 보증금을 전액 충당해도 되나요?
→ 보증금 80~100%까지 가능. 단, 보증보험 조건에 따라 달라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