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세 사기 예방 방법 7가지

by 늘솔 2025. 9. 3.
반응형

전세 사기 예방 방법 7가지

 

“전세 계약, 진짜 안전한 걸까?”
한순간에 보증금을 날릴 수 있는 전세 사기, 절대 남의 일이 아닙니다.

 

2025년에도 여전히 전세 사기 피해자 수는 증가 추세입니다. 특히 수도권 청년층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전세 사기가 반복되고 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세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사항 7가지와 함께, 보증금 보호를 위한 현실적인 대처법을 알려드립니다.

 

전세 사기 주요 수법 TOP 3

 

  1. 이중 계약: 동일한 집을 여러 사람에게 계약해 보증금만 받고 잠적
  2. 깡통 전세: 집값보다 전세금이 높은 상태에서 경매로 넘어감
  3. 명의 신탁 사기: 진짜 주인이 아닌 사람과 계약

🔎 피해자는 대부분 20~30대 1인 가구 및 신혼부부

 

 

전세 사기 예방 체크리스트 7단계

1. 등기부등본 열람은 기본 중 기본

  • 온라인 등기소 또는 정부24에서 무료 확인
  • 소유자 명의, 근저당, 전세권 등 반드시 확인
  • 등기부등본은 계약 당일에도 재확인!

2. 전입신고 & 확정일자 꼭 받기

  • 보증금 보호의 가장 중요한 단계
  • 전입신고 + 확정일자 = 우선변제권 확보
  • 임대차계약서와 신분증만 있으면 주민센터에서 즉시 가능

3. 집주인 신원 확인 & 대면 계약

  • 계약 상대가 진짜 소유주인지 직접 통화 또는 대면
  • 법인 명의/대리인 계약 시 → 위임장과 신분증 필수 확인

4. 보증보험 가입 가능한지 확인

  • 한국주택금융공사(HUG), SGI서울보증, KB손해보험
  • 깡통 전세 위험 지역은 보증가입 거절되는 경우도 있음
  • 사기 위험 판단 지표로 활용 가능

5. 주변 시세 대비 전세금 과도한 경우 피하기

  • 주변 시세보다 전세금이 10~20% 이상 높은 경우 위험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 서비스 이용 필수

6. 잔금일에 등기부등본 재확인

  • 계약부터 잔금 사이 새로운 담보가 잡힐 수 있음
  • 최종 지급 전 소유권과 근저당 여부 재점검 필수

7. 임대인 세금 체납 여부 확인

  • 국세 체납이 있다면 세무서가 우선권을 가질 수 있음
  • 임대인 동의하에 국세청에 확인 가능 (전자세금계산서 등)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유용한 도구 & 서비스

서비스 설명
전세사기 지도 앱 위험 지역 실시간 확인 가능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보증금 보호용
실거래가 조회 가격 비교
HUG 깡통전세 조회 서비스 리스크 지역 파악

 

 

 

 

 

반응형